운영 및 데이터 복구
언젠가는 저장소를 손수 정리해야 할 날이 올지도 모른다. 저장소를 좀 더 알차게(Compact) 만들고, 다른 VCS에서 임포트하고 나서 그 잔재를 치운다든가, 아니면 문제가 생겨서 복구해야 할 수도 있다. 이 절은 이럴 때 필요한 것을 설명한다.
운영
Git은 때가 되면 자동으로 "auto gc" 명령을 실행한다. 물론 거의 실행되지 않는다. Loose 개체가 너무 많거나, Packfile 자체가 너무 많으면 Git은 그제야 진짜로 git gc
명령을 실행한다. gc
명령은 Garbage를 Collect하는 명령이다. 이 명령은 Loose 개체를 모아서 Packfile에 저장하거나 작은 Packfile을 모아서 하나의 큰 Packfile에 저장한다. 그리고 아무런 커밋도 가리키지 않는 개체가 있고 그 상태가 오래가면(a few months) 그때 개체를 삭제한다.
직접 자동 gc 명령을 실행할 수 있다:
$ git gc --auto
이 명령을 실행해도 보통은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는다. Loose 개체가 7천 개가 넘거나 Packfile이 50개가 넘지 않으면 Git은 실제로 gc
명령을 실행하지 않는다. 필요하면 gc.auto
나 gc.autopacklimit
설정으로 그 숫자를 조절할 수 있다:
gc
는 레퍼런스를 파일 하나로 압축한다. 예를 들어 저장소에 아래와 같은 브랜치와 태그가 있다고 하자:
$ find .git/refs -type f
.git/refs/heads/experiment
.git/refs/heads/master
.git/refs/tags/v1.0
.git/refs/tags/v1.1
git gc
를 실행하면 refs
에 있는 파일은 사라진다. 대신 Git은 그 파일을 .git/packed-refs
파일로 압축해서 효율을 높인다:
$ cat .git/packed-refs
# pack-refs with: peeled
cac0cab538b970a37ea1e769cbbde608743bc96d refs/heads/experiment
ab1afef80fac8e34258ff41fc1b867c702daa24b refs/heads/master
cac0cab538b970a37ea1e769cbbde608743bc96d refs/tags/v1.0
9585191f37f7b0fb9444f35a9bf50de191beadc2 refs/tags/v1.1
^1a410efbd13591db07496601ebc7a059dd55cfe9
이 상태에서 레퍼런스를 수정하면 파일을 수정하는 게 아니라 refs/heads
폴더에 파일을 새로 만든다. Git은 레퍼런스가 가리키는 SHA 값을 찾을 때 먼저 refs
디렉토리에서 찾고 없으면 packed-refs
파일에서 찾는다. 그러니까 어떤 레퍼런스가 있는데 refs
디렉토리에서 못 찾으면 packed-refs
에 있을 것이다.
마지막에 있는 ^
로 시작하는 줄을 살펴보자. 이것은 바로 윗줄의 태그가 Annotated 태그라는 것을 말해준다. 해당 커밋은 윗 태그가 가리키는 커밋이라는 뜻이다.
데이터 복구
Git을 사용하다 보면 커밋을 잃어 버리는 실수를 할 때도 있다. 보통 작업 중인 브랜치를 강제로 삭제하거나, 어떤 커밋을 브랜치 밖으로 끄집어 내버렸거나, 강제로(Hard) Reset하면 그렇게 될 수 있다. 어쨌든 원치 않게 커밋을 잃어 버리면 어떻게 다시 찾아야 할까?
master
브랜치를 예전 커밋으로 Reset하고 그것을 다시 복구해보자. 먼저 연습용 저장소를 만든다:
$ git log --pretty=oneline
ab1afef80fac8e34258ff41fc1b867c702daa24b modified repo a bit
484a59275031909e19aadb7c92262719cfcdf19a added repo.rb
1a410efbd13591db07496601ebc7a059dd55cfe9 third commit
cac0cab538b970a37ea1e769cbbde608743bc96d second commit
fdf4fc3344e67ab068f836878b6c4951e3b15f3d first commit
master
브랜치를 예전 커밋으로 Reset한다:
$ git reset --hard 1a410efbd13591db07496601ebc7a059dd55cfe9
HEAD is now at 1a410ef third commit
$ git log --pretty=oneline
1a410efbd13591db07496601ebc7a059dd55cfe9 third commit
cac0cab538b970a37ea1e769cbbde608743bc96d second commit
fdf4fc3344e67ab068f836878b6c4951e3b15f3d first commit
최근 커밋 두 개는 어떤 브랜치도 가리키지 않는다. 잃어 버렸다고 볼 수 있다. 그 두 커밋을 브랜치에 다시 포함하려면 마지막 커밋을 다시 찾아야 한다. SHA 값을 외웠을 리도 없고 뭔가 찾아낼 방법이 필요하다.
보통 git reflog
명령을 사용하는 게 가장 쉽다. HEAD가 가리키는 커밋이 바뀔 때마다 Git은 자동으로 그 커밋이 무엇인지 기록한다. 새로 커밋하거나 브랜치를 바꾸면 Reflog도 늘어난다. "Git 레퍼런스" 절에서 배운 git update-ref
명령으로도 Reflog를 남길 수 있다. 이 것이 git update-ref
를 꼭 사용해야 하는 이유중에 하나다. git reflog
명령만 실행하면 언제나 발자취를 돌아볼 수 있다:
$ git reflog
1a410ef HEAD@{0}: 1a410efbd13591db07496601ebc7a059dd55cfe9: updating HEAD
ab1afef HEAD@{1}: ab1afef80fac8e34258ff41fc1b867c702daa24b: updating HEAD
Checkout했었던 커밋 두 개만 보여 준다. 구체적인 정보까지 보여주진 않는다. 좀 더 자세히 보려면 git log -g
명령을 사용해야 한다. 이 명령은 Reflog를 log
명령 형식으로 보여준다.
$ git log -g
commit 1a410efbd13591db07496601ebc7a059dd55cfe9
Reflog: HEAD@{0} (Scott Chacon <[email protected]>)
Reflog message: updating HEAD
Author: Scott Chacon <[email protected]>
Date: Fri May 22 18:22:37 2009 -0700
third commit
commit ab1afef80fac8e34258ff41fc1b867c702daa24b
Reflog: HEAD@{1} (Scott Chacon <[email protected]>)
Reflog message: updating HEAD
Author: Scott Chacon <[email protected]>
Date: Fri May 22 18:15:24 2009 -0700
modified repo a bit
두 번째 커밋을 잃어버린 것이니까 그 커밋을 가리키는 브랜치를 만들어 복구한다. 그 커밋(ab1afef)을 가리키는 브랜치 recover-branch
를 만든다:
$ git branch recover-branch ab1afef
$ git log --pretty=oneline recover-branch
ab1afef80fac8e34258ff41fc1b867c702daa24b modified repo a bit
484a59275031909e19aadb7c92262719cfcdf19a added repo.rb
1a410efbd13591db07496601ebc7a059dd55cfe9 third commit
cac0cab538b970a37ea1e769cbbde608743bc96d second commit
fdf4fc3344e67ab068f836878b6c4951e3b15f3d first commit
master
브랜치가 가리키던 커밋을 recover-branch
브랜치가 가리키게 했다. 이 커밋 두 개는 다시 도달할 수 있다.
이보다 안 좋은 상황을 가정해보자. 잃어 버린 두 커밋을 Reflog에서 못 찾았다. recover-branch
를 다시 삭제하고 Reflog를 삭제하여 이 상황을 재연하자. 그러면 그 두 커밋은 다시 도달할 수 없게 된다:
$ git branch -D recover-branch
$ rm -Rf .git/logs/
Reflog 데이터는 .git/logs/
디렉토리에 있기 때문에 그 디렉토리를 지우면 Reflog도 다 지워진다. 그러면 커밋을 어떻게 복구할 수 있을까? 한 가지 방법이 있는데 git fsck
명령으로 데이터베이스의 Integrity를 검사할 수 있다. 이 명령에 --full
옵션을 주고 실행하면 길 잃은 개체를 모두 보여준다:
$ git fsck --full
dangling blob d670460b4b4aece5915caf5c68d12f560a9fe3e4
dangling commit ab1afef80fac8e34258ff41fc1b867c702daa24b
dangling tree aea790b9a58f6cf6f2804eeac9f0abbe9631e4c9
dangling blob 7108f7ecb345ee9d0084193f147cdad4d2998293
이 Dangling 커밋이 잃어버린 커밋이니까 그 SHA를 가리키는 브랜치를 만들어 복구한다.
개체 삭제
Git은 장점이 매우 많다. 하지만, Clone할 때 히스토리를 전부 내려받는 것이 문제가 될 때가 있을 수 있다. Git은 모든 파일의 모든 버전을 내려받는다. 사실 파일이 모두 소스코드라면 아무 문제 없다. Git은 최적화를 잘해서 데이터를 잘 압축한다. 하지만, 누군가 매우 큰 파일을 넣어버리면 Clone할 때마다 그 파일을 내려받는다. 다음 커밋에서 그 파일을 삭제해도 히스토리에는 그대로 남아 있기 때문에 Clone할 때마다 포함된다.
Subversion이나 Perforce 저장소를 Git으로 변환할 때에도 문제가 된다. Subversion이나 Perforce 시스템은 전체 히스토리를 내려받는 것이 아니므로 해당 파일이 여러 번 추가될 수 있다. 아니면 다른 VCS에서 Git 저장소로 임포트하려고 하는데 Git 저장소의 공간이 충분하지 않으면 너무 큰 개체는 찾아서 삭제해야 한다.
주의: 이 작업을 하다가 커밋 히스토리를 망쳐버릴 수 있다. 삭제하거나 수정할 파일이 들어 있는 커밋 이후에 추가된 커밋은 모두 재작성된다. 프로젝트를 임포트 하자마자 하는 것은 괜찮다. 아직 아무도 새 저장소를 가지고 일하지 않기 때문이다. 그게 아니면 히스토리를 Rebase한다고 관련된 사람 모두에게 알려야 한다.
시나리오 하나 살펴보자. 먼저 저장소에 크기가 큰 파일을 넣고 다음 커밋에서는 삭제할 것이다. 그리고 나서 그 파일을 다시 찾아 저장소에서 삭제한다. 먼저 히스토리에 크기가 큰 개체를 추가한다:
$ curl http://kernel.org/pub/software/scm/git/git-1.6.3.1.tar.bz2 > git.tbz2
$ git add git.tbz2
$ git commit -am 'added git tarball'
[master 6df7640] added git tarball
1 files changed, 0 insertions(+), 0 deletions(-)
create mode 100644 git.tbz2
tar 파일을 넣고 다시 삭제한다:
$ git rm git.tbz2
rm 'git.tbz2'
$ git commit -m 'oops - removed large tarball'
[master da3f30d] oops - removed large tarball
1 files changed, 0 insertions(+), 0 deletions(-)
delete mode 100644 git.tbz2
gc
명령으로 최적화하고 나서 저장소 크기가 얼마나 되는지 확인한다:
$ git gc
Counting objects: 21, done.
Delta compression using 2 threads.
Compressing objects: 100% (16/16), done.
Writing objects: 100% (21/21), done.
Total 21 (delta 3), reused 15 (delta 1)
count-objects
명령은 사용하는 용량이 얼마나 되는지 알려준다:
$ git count-objects -v
count: 4
size: 16
in-pack: 21
packs: 1
size-pack: 2016
prune-packable: 0
garbage: 0
size-pack
항목의 숫자가 Packfile의 크기다. 단위가 킬로바이트라서 이 Packfile의 크기는 약 2MB이다. 큰 파일을 커밋하기 전에는 약 2K였다. 파일을 지우고 커밋해도 히스토리에서 삭제되지 않는다. 어쨌든 큰 파일이 하나 들어 있기 때문에 너무 작은 프로젝트인데도 Clone하는 사람마다 2MB씩 필요하다. 이제 그 파일을 삭제해 보자.
먼저 파일을 찾는다. 뭐, 지금은 무슨 파일인지 이미 알고 있지만 모른다고 가정한다. 어떤 파일이 용량이 큰지 어떻게 찾아낼까? 게다가 git gc
를 실행됐으면 전부 Packfile 안에 있어서 더 찾기 어렵다. Plumbing 명령어 git verify-pack
로 파일과 그 크기 정보를 수집하고 세 번째 필드를 기준으로 그 결과를 정렬한다. 세 번째 필드가 파일 크기다. 가장 큰 파일 몇 개만 삭제할 것이기 때문에 tail 명령으로 가장 큰 파일 3개만 골라낸다.
$ git verify-pack -v .git/objects/pack/pack-3f8c0...bb.idx | sort -k 3 -n | tail -3
e3f094f522629ae358806b17daf78246c27c007b blob 1486 734 4667
05408d195263d853f09dca71d55116663690c27c blob 12908 3478 1189
7a9eb2fba2b1811321254ac360970fc169ba2330 blob 2056716 2056872 5401
마지막에 있는 개체가 2MB로 가장 크다. 이제 그 파일이 정확히 무슨 파일인지 알아내야 한다. 7장에서 소개했던 rev-list
명령에 --objects
옵션을 추가하면 커밋의 SHA 값과 Blob 개체의 파일이름, SHA 값을 보여준다. 그 결과에서 해당 Blob의 이름을 찾는다:
$ git rev-list --objects --all | grep 7a9eb2fb
7a9eb2fba2b1811321254ac360970fc169ba2330 git.tbz2
히스토리에 있는 모든 Tree 개체에서 이 파일을 삭제한다. 먼저 이 파일을 추가한 커밋을 찾는다:
$ git log --pretty=oneline --branches -- git.tbz2
da3f30d019005479c99eb4c3406225613985a1db oops - removed large tarball
6df764092f3e7c8f5f94cbe08ee5cf42e92a0289 added git tarball
이 파일을 히스토리에서 완전히 삭제하면 6df76
이후 커밋은 모두 재작성된다. 6장에서 배운 filter-branch
명령으로 삭제한다:
$ git filter-branch --index-filter \
'git rm --cached --ignore-unmatch git.tbz2' -- 6df7640^..
Rewrite 6df764092f3e7c8f5f94cbe08ee5cf42e92a0289 (1/2)rm 'git.tbz2'
Rewrite da3f30d019005479c99eb4c3406225613985a1db (2/2)
Ref 'refs/heads/master' was rewritten
--index-filter
옵션은 6장에서 배운 --tree-filter
와 비슷하다. --tree-filter
는 디스크에 Checkout해서 파일을 수정하지만 --index-filter
는 Staging Area에서 수정한다. 삭제도 rm file
명령이 아니라 git rm --cached
명령으로 삭제한다. 디스크에서 삭제하는 것이 아니라 Index에서 삭제하는 것이다. 이렇게 하는 이유는 속도가 빠르기 때문이다. Filter를 실행할 때마다 각 리비전을 디스크에 Checkout하지 않기 때문에 이것이 울트라 캡숑 더 빠르다. --tree-filter
로도 같은 것을 할 수 있다. 단지 느릴 뿐이다. 그리고 git rm
명령에 --ignore-unmatch
옵션을 주면 파일이 없는 경우에 에러를 출력하지 않는다. 마지막으로 문제가 생긴 것은 6df7640
커밋부터라서 filter-branch
명령에 6df7640
커밋부터 재작성하라고 알려줘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첫 커밋부터 시작해서 불필요한 것까지 재작성해 버린다.
히스토리에서는 더는 그 파일을 가리키지 않는다. 하지만, Reflog나 filter-branch를 실행할 때 생기는 레퍼런스가 남아있다. filter-branch
는 .git/refs/original
디렉토리에 실행될 때의 상태를 저장한다. 그래서 이 파일도 삭제하고 데이터베이스를 다시 압축해야 한다. 압축하기 전에 해당 개체를 가리키는 레퍼런스는 모두 없애야 한다:
$ rm -Rf .git/refs/original
$ rm -Rf .git/logs/
$ git gc
Counting objects: 19, done.
Delta compression using 2 threads.
Compressing objects: 100% (14/14), done.
Writing objects: 100% (19/19), done.
Total 19 (delta 3), reused 16 (delta 1)
공간이 얼마나 절약됐는지 확인한다:
$ git count-objects -v
count: 8
size: 2040
in-pack: 19
packs: 1
size-pack: 7
prune-packable: 0
garbage: 0
압축된 저장소의 크기는 7K로 내려갔다. 2MB보다 한참 작다. 하지만, size 항목은 아직 압축되지 않는 Loose 개체의 크기를 나타내는데 그 항목이 아직 크다. 즉, 아직 완전히 제거된 것은 아니다. 하지만, 이 개체는 Push할 수도 Clone할 수도 없다. 이 점이 중요하다. 정말로 완전히 삭제하려면 git prune --expire
명령으로 삭제해야 한다.